본문 바로가기
HP-UX

[HP-UX] 디스크 구성

by 레이루이 2008. 4. 30.
반응형

Disk 구성
          Disk partitioning
 

   n       Disk partition 이란?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size, 성능, 안정화 방안 등을 고려하여 만든

                 physical disk의 일부분

  n       Disk partitioning 방법

         a. Whole disk partitioning :  구성이 간편

         b. LVM :  많은 관리상의 유연성 및 융통성(flexibility) 제공

5.2           LVM 개요

- Logical Volume Manager

- OSF Product  - HP-UX 9.x 부터 O/S 에 bundle 되어 있다.

- Disk 관리를 위한 kernel에 기본 내장된 sub-system이다.

- LVM은 volume group이라는 disk의 집합을 만들고 volume group 내에

공간을 논리적 volume(lvol)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partition을 구성할 수

있다.

5.3           LVM 구성 요소
  n       Physical Volume

      - 의미 : LVM에 의해서 관리되는 물리적인 디스크. 즉 일반 물리적인

         디스크에LVM 데이터 구조가 생성된 디스크.

      - Device file

       (예)   /dev/rdsk/c0t6d0   character device file

/dev/dsk/c0t6d0    block device file

      - 생성 방법

      # pvcreate  -f /dev/rdsk/c0t6d0

n       Volume Group

       - 의미 : 한 개 이상의 physical volume으로 구성된 disk pool

       - Device file

     (예)  /dev/vg01     vg01과 관련된device file을 가지고 있는 directory

             /dev/vg01/group      “vg01” volume group device file

        - 생성 방법

       # mkdir /dev/vg01

       # mknod /dev/vg01/group c 64 0x010000[CODE][/CODE]
         (0x010000은 vg번호와 연관 vg02이면 0x020000)

       # vgcreate /dev/vg01 /dev/dsk/c0t6d0

n       Logical Volume

        - 의미 : 각각의 filesystem을 구성하는 단위로서 partition 과 같다.

               특정한 volume group 안에서 생성가능 하다.

                  volume group이 다수의 disk로 구성된다면, lvol은 한 개의 disk

               범위를 넘어 설정될 수 있다.

        - Device file 

     (예)  /dev/vg01/lvol1  block device file
           /dev/vg01/rlvol1  character device file

        - 생성 방법

     # lvcreate  -L 1024 /dev/vg01

    ð       크기가 1024 MB인 logical volume을 생성

  n       LVM Table

        - 의미 : 모든 LVM 정보를 가지고 있고, LVM 구성 시 자동으로 생성 및

update 된다. 시스템 부팅 시 참조되어 해당 volume group을

활성화 시킨다.

        - 위치 : /etc/lvmtab

      # strings /etc/lvmtab

     ð       현재 LVM 정보를 display 한다.

      # mv /etc/lvmtab /etc/lvmtab.org

      # vgscan  -v

  ð       기존 LVM 정보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 후 , 현재 LVM 정보를

                읽어 /etc/lvmtab 파일을 새로 생성

  Volume group 생성 예제 



①      # ioscan  -fnkC disk

ð       physical volume 으로 구성할 disk의 device file을 확인

②      # pvcreate /dev/rdsk/c2t2d0

ð       physical volume으로 구성

③      # mkdir /dev/vg01

ð       volume group 의 device file이 저장 될 directory 생성

④      # mknod /dev/vg01/group c 64 0x010000
          (0x010000은 vg번호와 연관 vg02이면 0x020000)

ð       volume group device file 생성

⑤      # vgcreate /dev/vg01 /dev/dsk/c2t2d0

ð       하나의 disk를 volume group으로 구성

⑥      # lvcreate  -L 500 /dev/vg01

ð       volume group vg01에 크기가 500MB인 logical volume 구성

ð       logical volume 이름은 기본으로 lvol1(만들어진 순서에 따라)으로 생성

⑦      # newfs  -F vxfs /dev/vg01/rlvol1

ð       logical volume lvol1을 vxfs type인 File system으로 만듦

⑧      # mount /dev/vg01/lvol1 /data1

ð       특정 directory에 mount 시킨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