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1 커널의 위치
- 9.X /hp-ux
- 10.X /stand/vmunix
- 11.X /stand/vmunix
/stand/dlkm (DLKM, kernel function set directory)
1.2 커널 재구성이 필요한 경우
- Kernel parameter를 수정한 경우
- 특정 driver를 추가/삭제한 경우
- HP의 sub-system을 추가/삭제 한 경우
1.3 11.X 의 새로운 특징
n
prior to 11.X - Static Kernel Modules
prior to 11.X - Static Kernel Modules
n
11.X – Dynamic Kernel Modules
11.X – Dynamic Kernel Modules
1.4 커널 재구성 방법
n SAM 이용
n HP-UX 명령어를 이용
Ø 방법 1
① # cd /stand
② # cp system system.prev
③ # cd /stand/build
④ # /usr/lbin/sysadm/system_prep –s system
⑤ # kmtune –s dbc_max_pct=25 –S /stand/build/system
ð tunable parameter value 수정
⑥ # kmsystem –c Y –S /stand/build/system stape
ð driver/subsystem 추가 및 삭제
ð module configuration 및 loadable flag set
⑦ # cp –p system /stand/system
⑧ # mk_kernel –s system
ð 현재 directory에 vmunix_test 생성 됨
ð DLKM file은 “dlkm.vmunix_test” dir에 생성됨.
⑨ # kmupdate /stand/build/vmunix_test
ð 새롭게 생성된 kernel로 update한다. /stand에 있는 기존 version은 vmunix.prev와 dlkm.vmunix.prev로 자동 저장된다.
⑩ # cd /
⑪ # shutdown –r 0
Ø 방법 2
① # cd /stand/build
② # /usr/lbin/sysadm/system_prep –s system
③ # vi system ( 원칙적으로 kmtune/kmsystem 사용 권고)
ð tunable parameter 및 driver/sub-system 변경
④ # mk_kernel –o /stand/vmunix –s /stand/build/system
ð 현재 directory에 vmunix_test 생성됨. DLKM file은 “dlkm.vmunix_test” dir에 생성됨.
ð /stand 에 .update_ux라는 file이 생성되면서 rebooting시에 새로 만들어진 kernel이 자동으로 update 될 것이라는 message가 나타난다.
ð /stand에 있는 이전version은 vmunix.prev 와 dlkm.prev로 save되고 vmunix_test 가 vmunix로 dlkm.vmunix_test가 dlkm.vmunix로 부팅 시 자동 update된다.
⑤ # mv /stand/system /stand/system.prev
⑥ # cp system /stand/system
⑦ # cd /
⑧ # shutdown –r 0
[참조] 700 series(workstation) - 권장 Kernel Parameter 값
[참조] 800 series(server) - 권장 Kernel Parameter 값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