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357 리눅스 커널 바꾸기와 컴파일 커널 바꾸기와 컴파일 여러분은 도스나 윈도우를 쓰면서 왜 486이나 펜티엄 또는 펜티엄 프로가 다른 능력을 가진 시스템임에도 불구하고 같은 환경을 써야 하는지 의문을 가져 보시지는 않았습니까? 486과 펜티엄 프로가 같은 환경의 운영체제를 쓴다는 것은 합당하지 않습니다. 여기서 커널 컴파일의 의미가 보이는 것입니다. 커널 컴파일은 커널에 원하는 기능을 부여하고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해서 시스템을 자신에게 최적화 되게 만들어 주는 작업입니다. 그러므로 기본적으로자신의 하드웨어에 대해서 기본적인 사항은 알아야 합니다. 그럼 이제부터 커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순 서***************** 1. 커널 버젼 번호의 의미 2. 내 리눅.. 2008. 5. 27. Linux 명령어 총집합 원문 : http://blog.naver.com/dukslud/20033214312 * 문서 1. 패스워드 관리장부 2. 서버자원관리부 3. 백업관리장부 4. 서버작업이력부 5. 서버점검이력부 * 절대로 서버를 믿어서는 안된다. 여러분 자신을 믿으셔야 합니다. * 리눅스 배포판 www.redhat.com www.debian.org www.slackware.com www.linux-mandrake.com www.wowlinux.com www.alzzalinux.com www.suse.com www.haansoftlinux.com www.hancom.com www.sulinux.net * 한글 사용 # cat /etc/sysconfig/i18n LANG="ko_KR.eucKR" SUPPORTED="en_US.. 2008. 5. 16. crontab 사용법 원문 : http://blog.naver.com/sulucky5/70015357757 crontab 은 윈도우의 스케줄러와 같은 역할을 하는 명령어입니다. 1. crontab 에 등록된 작업보기 # crontab -l 2. crontab 편집하기 # crontab -e ----------------------------------------------------------------------------------- crontab /etc/cron, /usr/spool/cron/crontabs/* “/etc/cron" 프로그램 은 주기적으로 어떤 프로그램을 수행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때 주기적으로 수행되어질 프로그램은 "/usr/spool/cron/crontabs" 디렉토리 밑에 각 사 용자의 사용자명과 .. 2008. 5. 16. 리눅스 LVM 설정 방법 # LV 설정하기 1 vgscan (lvm2 에서는 자동으로 이루어짐) 2 df -k 3 fdisk /dev/sdb 4 pvcreate /dev/sdb1 (pvcreate /dev/sda1) 5 vgcreate VolGroup00 /dev/sdb1 (/dev/sda1) 6 vgdisplay -v 7 lvcreate -L 4000 -n LogVol00 VolGroup00 8 lvscan / vgdisplay -v 9 mkfs -t ext3 /dev/VolGroup00/LogVol00 10 mkdir /Mountpint 11 mount -t ext3 /dev/VolGroup00/LogVol00 /Mountpoint # 설정된 LV 확장하기 1 fdisk /dev/hdb 2 pvscan 3 pvcreate /.. 2008. 5. 16. Veritas Volume Manager 정리(VxVM, 3.2 기준) Veritas Volume Manager 정리(VxVM, 3.2 기준) 출처 : http://blog.naver.com/kowoo/70008683849 VxVM의 Physica disk는 두 부분으로 구성됨 - private : VxVM의 환경과 관리 정보 저장, default로 3번 slice가 사용됨 - public : 데이터 저장, default로 4번 slice가 사용됨 - private region # private region을 구성하는데는 하나의 cylinder가 필요함. # VTOC(Volume Table Of Contents)를 조회하여 확인 가능하다. (ex. # prtvtoc /dev/dsk/c0t0d0s2) -- private region 의 이용 # disk header : 하나의.. 2008. 5. 15. [VxVM] Volume 관련 명령 출처 및 작성자 : 송영국 (http://www.optiinfo.com/) Volume 관련 명령 1. Volume 생성 - 1.1 구성가능한 Volume의 최대크기 확인 # vxassist -g dg_name maxsize layout=raid5 - 1.2 Disk group의 free space 확인 # vxdg -g dg_name free (block단위로 출력이 된다.) # vxdg -g dg_name free | nawk `{print $1,$2,$3,$4,$5/2048,$6}` (5번째 필드인 LENGTH를 Mb로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 1.3 Concatenated Volume # vxassist -g dg_name make vol01 100m disk01 - 1.4 Striped.. 2008. 5. 11. Solaris Patch 관리 출처 : http://blog.naver.com/juan0812?Redirect=Log&logNo=40021843335 Solaris Patch 관리 솔라리스 패치 관리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리눅스의 경우에는 워낙에 사용자층이 두텁고 또 완전 오픈소스 구조라서 커널부터 명령어까지 취약점도 자주 발견되고 또 그에따라 패치도 자주 발표됩니다. 어떻게보면 좋은거지만 관리자 입장에서는 아주 짜증나는 일이겠지요.. 그런데 알고보면 솔라리스도 취약점과 그에대한 패치가 자주 나옵니다. 그런데 솔라리스 유저는 리눅스 유저만큼 패치에 대해서 민감하지 않은것 같습니다. 뭐.. 리눅스는 워낙에 exploit이 많이 발표되는터라 패치 안하면 작살나지만.. 반면에 솔라리스는 좀 덜하죠.. 그래서 침해사고도 리눅스보다는.. 2008. 5. 9. find 명령어 활용하기 출처 : http://blog.naver.com/rosekingdom/60003078108 1. 중요옵션 -atime n : n 일 전에 마지막으로 억세스된 파일 -mtime n : n 일 전에 마지막으로 수정된 파일 -newer file : file 보다 최근에 수정된 파일 -size n : n*512 바이트의 길이를 갖는 파일 -type c : 파일의 종류 c값이 f=file d=directory -fstype typ : 파일시스템 종류 기술 -name nam : 이름이 nam 인 파일 -perm p : 파일의 접근모드가 p인 파일 -user usr : 사용자 usr 에 속하는 파일 -group grp : 그룹 grp에 속하는 파일 -nouser : 파일소유자가 패스워드파일에 있지 않은 파일 -nog.. 2008. 5. 7.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45 다음 반응형